본문 바로가기
생활정보

청년희망적금 지원대상 및 신청방법 알아보기

by 오직우리 2023. 5. 2.
반응형

청년희망적금이란 정부에서 지원하는 적금 상품 중 하나로, 중소기업 재직자에게 우대금리를 제공하며 목돈 마련을 돕는 제도입니다. 기존 내일채움공제와는 다르게 6개월 이상 근무 중인 만 34세 이하 청년이라면 누구나 가입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고, 월 12만 원씩 2년 동안 총 720만 원을 저축하면 만기 시 1,440만 원으로 돌려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인기가 많은 정책상품입니다. 하지만 모든 청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건 아닌데요, 아래 내용을 참고하셔서 해당되시는 분들은 신청하시길 바랍니다.

청년희망적금 대상자는 어떻게 되나요?

우선 기업과 근로자가 공동으로 적립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두 가지 조건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. 먼저 고용보험 피보험자수 5인 이상이면서 최저임금이상 급여를 지급하는 중소·중견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한 청년이어야 하며, 다음으로는 최종학력 졸업 후 현재까지 연속해서 6개월 이상 또는 합산하여 12개월 이상 직장에 다녀야 합니다. 단, 군복무기간은 제외됩니다.

저축 금액은 얼마인가요?

매월 최소 10만원 씩 납입해야 하며, 연간 60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넣을 수 있습니다. 즉, 매달 10만 원씩 넣으면 12개월 동안 120만 원이 쌓이고, 이후부터는 240만 원까지만 쌓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. 만약 한 달에 100만 원씩 넣는다면 6개월 후엔 480만 원까지만 입금할 수 있고, 7개월째부턴 200만 원까지만 쌓입니다. 따라서 첫 해에만 1200만 원까지 모을 수 있으며, 다음 해부터는 매년 600만 원까지밖에 못 넣습니다.

금리 수준은 어떤가요?

시중은행 금리보다는 높은 편입니다. 기본적으로 5% 연 이율이고, 은행에서 주는 우대금리를 받으면 조금 더 높아져 6%정도 입니다. 하지만 세제 혜택까지 포함해 환산하면 연 10%대라고 볼 수 있습니다. 상당히 파격적인 금리라고 볼 수 있죠~

중도 해지 시 불이익은 없나요?

일반 적금처럼 중도 해지해도 원금 손실은 없습니다. 그러나 약정 이율 대비 적은 이자를 받게 됩니다.

청년희망적금 어디서 신청하나요?

청년희망적금은 온라인, 오프라인 모두 가입가능합니다. 단, 온라인으로 할 경우 금리를 우대해준다고 합니다. KB국민은행, 우리은행, 신한은행, 하나은행, 기업은행, NH농협은행, 대구은행, 광주은행, 전북은행, 제주은행, 부산은행, 경남은행에서 가입 가능합니다.

중소기업에 다니는 청년분들에게는 더할나위 없이 좋은 기회이니 자격요건 되시는 분들은 꼭 신청하셔서 조금이나마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.

반응형

댓글